출근길에 괜히 call도 함수니까 apply로 때리면 어떻게 되나. 싶어서.
이런걸 끄적여봤는데.
뭐 그런거지.
-
-
참고: http://es5.github.io/#x9.3 ToNumber(null)은 0 ToNumber(Object)는 return ToNumber(ToPrimitive(Object)) 그러니까..
-
SMART Specific 구체적인 Measurable 측정 가능한 Achievable 달성할 수 있는 Relevant 당면 과제에 적절한, 의미 있는 Time-boxed 시간 제한이 있는 Specific 구체적인 목표는 구체적이어야 한다. Measurable 측정 가능한 목표를 달성했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을 조금이라도 만들고 싶다면 어떻게든 목표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Achievable 달성할 수 있는 ...
-
Step 1 SAMPLE Step 2 SAMPLE byRegister, byTitle, byDate가 반환하는 값이 { task, sub } 형태로 변경 됨 Step 3 SAMPLE 기존의 Task가 새로운 Task를 상속한 TaskItem으로 변경 됨 기존의 taskSort가 TaskItem의 static 메소드로 포함 됨 byRegister, byTitle, byDate가 반환하는 값이 { item, children }...
-
-
State Memento Command
-
매일 해야 하는 업무가 있는데 직접 하면 5분만에 끝난다고 가정할 때, 똑같은 업무를 완수하는 방법을 가르칠 때는 150분(5분 X 30배)은 쓸 생각을 해야 한다. 어떤 업무를 자신이 직접 할 때 1년 근무일 255일 동안 매일 5분씩 걸린다고 하면 매년 1,275분씩 쓰게 된다는 뜻이다. 직접 하는 대신 다른 사람에게 150분을 사용하여 그 사람이 5분 짜리 업무를 대신 하게 된다면, 자신은 1년에 1,125분을 저축하게 된다. 시간을 2배...
-
철학자 드라이퍼스 (Hubert L. Dreyfus)가 저서 Mind Over Machine의 도입부에서 제안한 기술 습득의 5단계 모델 초급자(Novice), 초중급자(Advanced Beginner), 능숙자(Competent), 숙련자(Proficient) 그리고 전문가(Expert)로 분류 초급자(Novice) 해당 기술 영역에서 사전 경험(사고에 변화가 생기는)이 거의 없는 단계 9년 동안 1년치의 경험을 9번 경험한 것은 경험으...
-
선생과 학생 사이의 아이러니 학습할 때 어려운 것들이 오히려 학생에게 더 이득이 되는 경우가 있다. 학생들에게 쉬운 방식으로 정보 전달이 되면 학생의 뇌와 선생의 뇌 중에서 가장 깊은 레벨에서 정보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은 누구의 뇌일까? '쏙쏙 이해가 되는' 수업은 선생의 뇌에 가장 훈련이 되는 수업이고, 학생들의 뇌에는 가장 훈련이 적게 되는 수업이다. ( 선생이 가장 공부가 많이 되는 모델 ) "레고는 정말 좋은 장난감인데, 레고를 만들어낸 ...
-
원래 제목은 "Procrastinate on Purpose". 평균수명 82세인 한국인의 경우 일생은 72만 시간을 산다는 것. - 그러나 시간을 2배로 늘려 활용할 수 있다면 144만 시간, 164년의 장수를 누리는 셈 - 책 표지의 문구까지 더하면 내용과 상관없이 "장수 백서"가 되버린다. "내일 시간을 더욱 많이 만들어줄 일들에 오늘 시간을 보내도 좋다고 자신에게 허용하라." "You multiply your time by giving ...